고려대학교 문과대학교

QUICK MENU
  • 로그인
  • 사이트맵
  • 고려대학교
  • KUPID
  • English

과목소개

  • 學科專攻分野

國語學 전공(Korean Linguistics)
     古典文學 전공(Classical Korean Literature)
     現代文學 전공(Modern Korean Literature)
     漢文學 전공(Korean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韓國語文化敎育學 전공(Korean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 기초공통

 

KOR 501 고대국어학연구(Old Korean Linguistics) [3]
근세 이전의 국어를 대상으로 하여 연구한 지금까지의 국어학을 부문별로 개관하고, 그 과제의 성격과 본질에 대하여 개괄적으로 구명한다.

KOR 502 현대국어학연구(Contemporary Korean Linguistics) [3]
현대국어를 대상으로 하여 연구한 지금까지의 국어학을 부문별로 개관하고, 그 과제의 성격과 본질에 대하여 개괄적으로 검토․구명한다.

KOR 503 국어학사연구(History of Korean Linguistics) [3]
국어학의 연구를 통시적으로 개관하고, 그 과제의 본질 및 해결 방법에 대하여 선별적으로 검토․연구한다.

KOR 504 개화기문학연구(Korean Literature in Enlightenment Period) [3]
실증적으로 자료를 분석하면서 정치적․경제적․사상적 상황에 대한 고려 하에서 개화기 문학의 문학사적 의미를 연구한다.

KOR 505 현대문학사연구(History of Modern Korean Literature) [3]
문학사의 기술방법, 기술관점, 시대구분의 문제, 순서개념으로서의 근대문학과 본질개념으로서의 근대문학 등을 구분한다.

KOR 506 현대문학연구방법론(Methodology of Modern Literature) [3]
현대문학에서 지금까지 다양하게 논의된 문학 연구 방법론을 검토하고 그 학문적 가치를 평가한다.

KOR 507 국문학연구방법론(Methodology in Korean Literature) [3]
문학연구방법 일반에 관한 이론적, 실천적 쟁점들을 정리하여 이해하면서 국문학 연구에 중요한 방법론상의 문제들을 연구한다.

KOR 508 국문학사연구(History of Korean Literature) [3]
국문학의 역사적 전개과정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특정한 시대별 문제들을 거시적 관점에서 상호 연관 하에 다룬다.

KOR 509 한국의 풍속과 전고(Custom and Authentic Precedent in Korea) [3]
한국에 고유한 여러 풍속과 전고에 대한 조사와 연구를 통해 한국 한문학에 대한 심층적 이해에 접근하는 기초를 마련한다.

KOR 510 한국문집선독(Readings in Korean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3]
한국의 문집을 대상으로 주요한 작품들을 선정하여 한문과 한시의 구문, 어법, 분위기 등에 숙달하도록 한다.

KOR 511 연구윤리및논문작성법(Research Ethics and Thesis Writing) [1]
연구 활동에서 일어나는 윤리적인 문제를 검토하고, 학술 논문 작성 기술을 알아보고 실습한다.

KOR 512 연구윤리및영어논문작성법(Research Ethics and Academic Writing in English) [1]
연구 활동에서 일어나는 윤리적인 문제를 검토하고, 영어 학술 논문 작성 기술을 알아보고 실습한다.

KOR 513 초중급전공한국어(Academic Korean: Beginning-Intermediate) [3]
학업 수행에 필요한 기본적 한국어 능력이 부족한 외국인 대학원생을 위한 교과목이다. 평이한 설명적 텍스트와 논리적 텍스트를 이용하여 사고도구어 및 학술적 텍스트의 구조와 격식을 익히며, 이를 바탕으로 학업 수행에 필요한 기초 수준의 읽기와 쓰기 능력을 기른다.

KSR 601 한국어학론(Topics in Korean Linguistics) [3]
일반언어학의 관점에서 한국어의 음운론, 형태론, 통사론, 의미론의 주요 사항들을 다룬다.

KSR 602 한국문학론(Topics in Korean Literature) [3]
이 과목에서는 한국문학의 주요 주제들에 대한 탐색과 논의를 진행한다. 그로써 한국문학의 내재적 특성과 외재적 효과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를 심화시키고자 한다.

KSR 701 한국의언어와문화(Korean Language and Culture) [3]
한국의 언어와 문화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외국인 대학원생을 위한 교과목이다. 대학원에서 본격적으로 한국어학이나 한국문학, 한국어문화교육학을 공부하기에 앞서 한국어문학에 대한 기초 지식을 쌓는다.

KSR 702 한국문학의세계(Introduction to Korean Literature) [3]
인접 전공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한국문학의 특성을 포괄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안목을 기르도록 한다.

KSR 704 전공심화한국어(Major Intensive Korean) [3]
학업 수행에 필요한 전문적 한국어 능력이 부족한 외국인 대학원생을 위한 교과목이다. 전공 영역에서의 학업 수행에 필요한 전문용어 및 사고도구어, 학술적 텍스트의 구조와 격식을 익히고, 이를 바탕으로 전공 학업 수행에 필요한 고급 수준의 발표하기, 토론하기, 강의 듣기, 논문 및 전문서적 읽기, 보고서 쓰기 능력을 기른다.



  • 국어학

KOR 601 국어음운론연구(Introduction to Korean Phonology) [3]
국어의 음운론에 대한 전반적인 연구 방법을 학습한다.

KOR 602 국어형태론연구(Introduction to Korean Morphology) [3]
국어의 형태론에 대한 전반적인 연구 방법을 학습한다.

KOR 603 국어구문론연구(Introduction to Korean Syntax) [3]
국어의 구문론에 대한 전반적인 연구 방법을 학습한다.

KOR 604 국어의미론연구(Introduction to Korean Semantics) [3]
국어의 의미론에 대한 전반적인 연구 방법을 학습한다.

KOR 605 국어사연구(Research on History of Korean) [3]
국어사론을 통사적으로 개관하고, 이설로 대립된 그 과제의 본질 및 해결방법에 대하여 선별적으로 검토․연구한다.

KOR 606 현대국어어휘론연구(Contemporary Korean Lexicology) [3]
현대국어의 어휘 의미에 대한 이론적 연구 방법을 학습한다.

KOR 607 국어방언론연구(Introduction to Korean Dialectology) [3]
국어방언론사를 체계적으로 개관하고, 이설로 대립된 그 과제의 본질 및 해결방법에 대하여 선별적으로 검토․연구한다.

KOR 608 국어교육론연구(Introduction to Korean Teaching) [3]
국어를 대상으로 한 교육론을 살피고, 그 발전 방안을 모색한다.

KOR 609 국어화용론연구(Introduction to Korean Pragmatics) [3]
화용론의 이론적 발전을 살피고, 국어에서의 발화를 대상으로 이를 적용․분석한다.

KOR 610 국어정책론연구(Introduction to Korean Language Policy) [3]
국어에 관한 정책의 흐름을 개관하고, 현재의 국어정책을 살핀다.

KOR 611 국어전산학연구(Korean Computational Linguistics) [3]
컴퓨터와 국어학을 결합한 이론을 탐구하고, 실질적인 응용방안을 탐구한다.

KOR 612 국어학선독 I(Selected Readings in Korean Linguistics I) [3]
현대 국어학 연구논문 중에서 중요한 것을 선택하여 강독하고 토의한다.

KOR 613 국어학연습 I(Korean Linguistics Seminar I) [3]
국어학에 관한 연구 성과를 분야별로 검토하며, 문제점과 그 해결방안을 연구․논의한다.

KOR 614 국어학특수과제연구 I(Special Topics in Korean Linguistics I) [3]
국어학에 관한 특수 과제를 주제로 하여 그 연구사를 체계적으로 개관하고, 그 과제의 본질을 구명하여 해결을 도모한다.

KOR 615 국어학응용과제연구 I(Applied Topics in Korean Linguistics I) [3]
국어학의 지식을 이용하여 응용방안을 모색한다.

KOR 689 국어어휘사연구(Korean Historical Lexicology) [3]
한국어의 어휘들이 역사적으로 어떠한 변화를 겪었는지 알아본다.

KOR 690 국어구어연구(Spoken Korean Seminar) [3]
한국어 구어를 연구 대상으로 구어의 음운론적, 문법론적, 의미론적 특징을 알아본다.

KOR 691 국어습득연구(Seminar on Korean Language Acquisition) [3]
한국어 화자들의 모국어 습득이 어떠한 과정을 통하여 일어나는지 알아본다.

KOR 692 국어학과언어병리학(Korean Linguistics and Language Pathology) [3]
언어병리학 분야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국어학이 언어병리학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본다.

KOR 701 고대국어음운론연구(Introduction to Old Korean Phonology) [3]
근세 이전의 국어를 대상으로 연구한 음운론사를 개관하고, 이로부터 제기되는 문제점을 집중적으로 검토․연구한다.

KOR 702 고대국어형태론연구(Introduction to Old Korean Morphology) [3]
근세 이전의 국어를 대상으로 연구한 형태론사를 개관하고, 이로부터 제기되는 문제점을 집중적으로 검토․연구한다.

KOR 703 고대국어구문론연구(Introduction to Old Korean Syntax) [3]
근세 이전의 국어를 대상으로 연구한 구문론사를 개관하고, 이로부터 제기되는 문제점을 집중적으로 검토․연구한다.

KOR 704 고대국어의미론연구(Introduction to Old Korean Semantics) [3]
근세 이전의 국어를 대상으로 연구한 의미론사를 개관하고, 이로부터 제기되는 문제점을 집중적으로 검토․연구한다.

KOR 705 국어음운론사연구(History of Korean Phonology) [3]
국어를 대상으로 연구한 음운론사를 통시적으로 개관하고, 이로부터 제기되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발전 방향을 제시한다.

KOR 706 국어문법론사연구(History of Korean Syntax) [3]
국어를 대상으로 연구한 문법론사를 통시적으로 개관하고, 이로부터 제기되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발전 방향을 제시한다.

KOR 707 국어의미론사연구(History of Korean Semantics) [3]
국어를 대상으로 연구한 음운론사를 통시적으로 개관하고, 이로부터 제기되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발전 방향을 제시한다.

KOR 708 국어내용론연구(Theory of Korean Contents) [3]
국어에서 체계적으로 분절되어 있는 내용을 탐구한다.

KOR 709 국어문체론연구(Introduction to Korean Stylistics) [3]
문체론에 관한 언어학적 이론들을 개관하고, 이를 바탕으로 고전 및 현대국어의 작품들을 연구, 분석한다.

KOR 710 국어음성학연구(Introduction to Korean Phonetics) [3]
국어를 대상으로 하여 음성학 전반의 이론을 탐구하고, 발전 방안을 모색한다.

KOR 711 현대국어음운론연구(Contemporary Korean Phonology) [3]
현대국어를 대상으로 연구한 음운론을 개관하고, 이로부터 제기되는 문제점을 집중적으로 검토․연구한다.

KOR 712 현대국어형태론연구(Contemporary Korean Morphology) [3]
헌대국어를 대상으로 연구한 형태론을 개관하고, 이로부터 제기되는 문제점을 집중적으로 검토․연구한다.

KOR 713 현대국어구문론연구(Contemporary Korean Syntax) [3]
현대국어를 대상으로 연구한 구문론을 개관하고, 이로부터 제기되는 문제점을 집중적으로 검토․연구한다.

KOR 714 현대국어의미론연구(Contemporary Korean Semantics) [3]
현대국어를 대상으로 연구한 의미론을 개관하고, 이로부터 제기되는 문제점을 집중적으로 검토․연구한다.

KOR 715 국어문자론연구(Introduction to Korean Grammatology) [3]
국어를 대상으로 문자론의 전반적인 연구를 살피고, 발전 방안을 모색한다.

KOR 716 근대국어학연구(Introduction to Modern Korean Linguistics of 17C~19C) [3]
17세기에서 19세기에 이르는 근대국어의 시기에 국어학이 어떻게 발전하고 변화되어 왔는지 살핀다.

KOR 717 사회국어학연구(Introduction to Korean Sociolinguistics) [3]
국어 전반을 대상으로 한 사회언어학 이론을 탐구하고, 이로부터 제기되는 문제점을 집중적으로 검토․연구한다.

KOR 718 국어정보학(Korean Informatics) [3]
국어를 이용하여 전달되는 정보를 분석하고, 이로부터 제기되는 문제점을 집중적으로 검토․연구한다.

KOR 719 국어학선독 II(Selected Readings in Korean Linguistics II) [3]
현대 국어학 연구논문 중에서 중요한 것을 선택하여 강독하고 토의한다.

KOR 720 국어학연습 II(Korean Linguistics Seminar II) [3]
국어학에 관한 연구 성과를 분야별로 검토하며, 문제점과 그 해결방안을 연구․논의한다.

KOR 721 국어학특수과제연구 II(Special Topics in Korean Linguistics II) [3]
국어학에 관한 특수 과제를 주제로 하여 그 연구사를 체계적으로 개관하고, 그 과제의 본질을 구명하여 해결을 도모한다.

KOR 722 국어학응용과제연구 II(Applied Topics in Korean Linguistics II) [3]
국어학의 지식을 이용하여 응용방안을 모색한다.

KOR 801 국어음운이론연구(Korean Phonological Theory) [3]
음운이론의 전반적인 연구를 살펴보고, 국어와 관련지어 제기되는 문제점을 집중적으로 검토․연구한다.

KOR 802 국어형태이론연구(Korean Morphological Theory) [3]
형태이론의 전반적인 연구를 살펴보고, 국어와 관련지어 제기되는 문제점을 집중적으로 검토․연구한다.

KOR 803 국어구문이론연구(Korean Syntactic Theory) [3]
구문이론의 전반적인 연구를 살펴보고, 국어와 관련지어 제기되는 문제점을 집중적으로 검토․연구한다.

KOR 804 국어의미이론연구(Korean Semantic Theory) [3]
의미이론의 전반적인 연구를 살펴보고, 국어와 관련지어 제기되는 문제점을 집중적으로 검토․연구한다.

KOR 805 국어음운사연구(Korean Historical Phonology) [3]
국어사의 전반적인 흐름 속에서 국어음운의 변화를 중심으로 검토․연구한다.

KOR 806 국어문법사연구(Korean Historical Grammar) [3]
국어사의 전반적인 흐름 속에서 국어문법의 변화를 중심으로 검토․연구한다.

KOR 807 국어의미사연구(Korean Historical Semantics) [3]
국어사의 전반적인 흐름 속에서 국어의미의 변화를 중심으로 검토․연구한다.

KOR 808 고대국어어휘론연구(Old Korean Lexicology) [3]
근세 이전의 국어를 대상으로 연구한 형태론사를 개관하고, 이로부터 제기되는 문제점을 집중적으로 검토․연구한다.

KOR 809 국어계통론연구(Typology of Korean) [3]
국어계통론사를 체계적으로 개관하고, 이설로 대립된 그 과제의 본질 및 해결방법에 대하여 선별적으로 검토․연구한다.

KOR 810 남북한국어학연구(Korean Linguistics in South and North Korea) [3]
앞으로의 남북통일시대를 대비하여 남한과 북한의 언어의 전반적인 모습을 살피고, 발전 방안을 모색한다.

KOR 811 국어차자표기연구(Introduction to Korean Transcription) [3]
국어사와 국어학사의 전반적인 흐름 속에서 차자표기의 역사를 살피고, 이로부터 제기되는 문제점을 집중적으로 검토․연구한다.

KOR 812 국어사자료연구(Materials in Diachronic Korean Linguistics) [3]
국어의 통시적 연구에서 중요한 문헌자료를 서지적으로 고찰하고 그 국어학적 가치를 논한다.

KOR 813 사전편찬론연구(Introduction to Lexicography) [3]
사전편찬이론의 전반적인 모습을 살피고, 21세기를 맞이하여 보다 발전된 사전편찬 방안을 모색한다.

KOR 814 국어학선독 III(Selected Readings in Korean Linguistics III) [3]
현대 국어학 연구논문 중에서 중요한 것을 선택하여 강독하고 토의한다.

KOR 815 국어학연습 III(Korean Linguistics Seminar III) [3]
국어학에 관한 연구 성과를 분야별로 검토하며, 문제점과 그 해결방안을 연구․논의한다.

KOR 816 국어학특수과제연구 III(Special Topics in Korean Linguistics III) [3]
국어학에 관한 특수 과제를 주제로 하여 그 연구사를 체계적으로 개관하고, 그 과제의 본질을 구명하여 해결을 도모한다.

KOR 817 국어학응용과제연구 III(Applied Topics in Korean Linguisitics III) [3]
국어학의 지식을 이용하여 응용방안을 모색한다.



  • 현대문학

KOR 632 현대작가론연구(Study of Modern Writers) [3]
정확한 서지에 근거하여 작가 또는 작가들의 집단을 연구하며, 문화 배경에 대한 고려와 연구사 검토에 유의한다.

KOR 633 현대한국시연구 I(Study of Modern Korean Poetry I) [3]
중요한 현대시인들의 작품을 실제로 분석함으로써 현대시의 형식적 양상과 역사적 전통을 연구한다.

KOR 634 현대한국소설연구 I(Study of Modern Korean Novels I) [3]
구조, 성격, 문체, 시점 등의 비교 분석, 선택된 본문을 통한 주제 분석 등 소설의 이론에 관한 문제를 다룬다.

KOR 635 현대한국희곡연구(Study of Modern Korean Drama) [3]
20세기 전반기에 발표된 희곡을 대상으로 희곡의 언어, 구조, 사상을 연구한다.

KOR 636 전기현대문학연구(Early Modern Korean Literature: 1890~1920) [3]
20세기 초두의 시, 소설과 기타 산문을 지성적 배경과 문화적 상황에 비추어 검토하며, 李光洙와 崔南善의 작품을 특히 중점적으로 분석한다.

KOR 637 현대시론세미나 I(Seminar in Modern Korean Poetry I) [3]
한국현대시의 형태에 대하여 그 기원과 전개를 살펴보고, 연구사를 비판적으로 고찰하여 문제점을 찾아낸다.

KOR 638 시학이론연구 I(Study of Poetic Theory I) [3]
동서 고전시학에서부터 현대시학에 이르는 여러 이론들을 검토하고, 그 미학적 기초를 연구한다.

KOR 639 현대소설론세미나 I(Seminar in Modern Korean Novels I) [3]
중요한 본문의 분석, 서사양식의 본질과 한계 등을 검토하며, 특히 연구사 비판에 중점을 둔다.

KOR 640 현대비평론세미나 I(Seminar in Modern Korean Criticism I) [3]
20세기 한국 문학비평의 유형, 유파, 방법 등에 대하여 검토하며, 특히 비평문의 작성을 통한 실습에 중점을 둔다.

KOR 641 현대문학특수과제연구 I(Special Topics in Modern LiteratureⅠ) [3]
현대한국문학사의 역사적 전개를 개관하고, 그로부터 대두된 문제를 다시 체계화할 수 있는 새로운 관점 및 방법을 구체적으로 연구․검토한다.

KOR 642 현대시특수과제연구 I(Special Topics in Modern Poetry I) [3]
현대한국시사의 역사적 전개를 개관하고, 그로부터 대두된 문제를 다시 체계화할 수 있는 새로운 관점 및 방법을 구체적으로 연구․검토한다.

KOR 643 현대소설특수과제연구I(Special Topics in Modern NovelsI) [3]
현대한국소설사의 역사적 전개를 개관하고, 그로부터 대두된 문제를 다시 체계화할 수 있는 새로운 관점 및 방법을 구체적으로 연구․검토한다.

KOR 644 현대비평특수과제연구I(Special Topics in Modern CriticismI) [3]
현대한국비평사의 역사적 전개를 개관하고, 그로부터 대두된 문제를 다시 체계화할 수 있는 새로운 관점 및 방법을 구체적으로 연구․검토한다.

KOR 645 현대희곡특수과제연구 I(Special Topics in Modern Drama I) [3]
현대한국희곡사의 역사적 전개를 개관하고, 그로부터 대두된 문제를 다시 체계화할 수 있는 새로운 관점 및 방법을 구체적으로 연구․검토한다.

KOR 646 현대문학사세미나 I(History of Modern Korean Literature I) [3]
한국현대문학사의 역사적 전개를 개관하고, 그로부터 대두된 문제를 다시 체계화할 수 있는 새로운 관점 및 방법을 구체적으로 연구․검토한다.

KOR 647 현대문학사특수과제연구 I(Special Topics in Modern Literary History I) [3]
한국현대문학사에서 제기되는 특수 과제를 체계화시키고, 새로운 관점 및 방법론을 연구․검토한다.

KOR 731 중기현대문학연구(Modern Korean Literature: 1920~1930) [3]
1920년대의 시와 소설과 비평을 종합적으로 연구하며, 특히 계급주의 문학 이론에 대한 비판에 중점을 둔다.

KOR 732 후기현대문학연구(Late Modern Korean Literature: 1930~1950) [3]
1930년 이후의 대표작품들을 분석하고 새로운 특성을 찾아보며, 작가들의 상호관계와 문화적 배경에도 유의한다.

KOR 734 현대소설사연구(History of Modern Korean Novels) [3]
현대소설의 연구에 있어서 수시로 제기되는 시기․주제․문체에 대한 특수 문제들을 다룬다.

KOR 735 현대한국시연구 II(Study of Modern Korean Poetry II) [3]
중요한 현대시인들의 작품을 실제로 분석함으로써 현대시의 형식적 양상과 역사적 전통을 연구한다.

KOR 736 현대한국소설연구 II(Study of Korean Novels II) [3]
구조, 성격, 문체, 시점 등의 비교 분석, 선택된 본문을 통한 주제 분석 등 소설의 이론에 관한 문제를 다룬다.

KOR 737 현대시론세미나 II(Seminar in Modern Korean PoetryII) [3]
한국현대시의 형태에 대하여 그 기원과 전개를 살펴보고, 연구사를 비판적으로 고찰하여 문제점을 찾아낸다.

KOR 738 시학이론연구 II(Study of Poetic Theory II) [3]
동서 고전시학에서부터 현대시학에 이르는 여러 이론들을 검토하고, 그 미학적 기초를 연구한다.

KOR 739 현대소설론세미나 II(Seminar in Modern Korean PoetryII) [3]
중요한 본문의 분석, 서사양식의 본질과 한계 등을 검토하며, 특히 연구사 비판에 중점을 둔다.

KOR 740 현대문학특수과제연구 II(Special Topics in Modern Literature II) [3]
현대문학의 연구에 있어서 수시로 제기되는 시기․주제․문체에 대한 특수 문제들을 다룬다.

KOR 741 현대시특수과제연구 II(Special Topics in Modern PoetryII) [3]
현대시의 연구에 있어서 수시로 제기되는 시기․주제․문체에 대한 특수 문제들을 다룬다.

KOR 742 현대소설특수과제연구 II(Special Topics in Modern Novels II) [3]
현대소설의 연구에 있어서 수시로 제기되는 시기․주제․문체에 대한 특수 문제들을 다룬다.

KOR 743 현대비평특수과제연구 II(Special Topics in Modern CriticismII) [3]
현대비평의 연구에 있어서 수시로 제기되는 시기․주제․문체에 대한 특수 문제들을 다룬다.

KOR 744 현대희곡특수과제연구 II(Special Topics in Modern Drama II) [3]
현대희곡의 연구에 있어서 수시로 제기되는 시기․주제․문체에 대한 특수 문제들을 다룬다.

KOR 745 현대문학사세미나2(History of Modern Korean Literature 2) [3]
한국현대문학사의 역사적 전개를 개관하고, 그로부터 대두된 문제를 다시 체계화할 수 있는 새로운 관점 및 방법을 구체적으로 연구․검토한다.

KOR 746 현대문학사특수과제연구 II(Special Topics in Modern Literary History II) [3]
한국현대문학사에서 제기되는 특수 과제를 체계화시키고, 새로운 관점 및 방법론을 연구․검토한다.

KOR 831 현대시인론연구(Study of Modern Poets) [3]
현대문학에 있어서 중요 시인들의 작품, 시인론을 중점적으로 연구한다.

KOR 832 시학이론연구 III(Study of Poetic Theory III) [3]
동서 고전시학에서부터 현대시학에 이르는 여러 이론들을 검토하고, 그 미학적 기초를 연구한다.

KOR 833 현대작가론세미나(Seminar in Modern Korean Writers) [3]
현대 작가 또는 작가집단들에 대한 작가론을 사적 관점에서 비교․연구․검토한다.

KOR 834 현대희곡론세미나(Seminar in Modern Korean Drama) [3]
희곡 연구사들을 중심으로 하여, 현대 희곡을 문학사적 측면과 예술사적 측면에서 재검토한다.

KOR 835 현대비평론세미나 II(Seminar in Modern Korean Criticism II) [3]
20세기 한국 문학비평의 유형․유파․방법 등에 대하여 검토하며, 특히 비평문의 작성을 통한 실습에 중점을 둔다.

KOR 836 현대문학특수과제연구III(Special Topics in Modern Literature III) [3]
현대문학의 연구에 있어서 수시로 제기되는 시기․주제․문체에 대한 특수 문제들을 다룬다.

KOR 837 현대시특수과제연구 III(Special Topics in Modern Poetry III) [3]
현대시의 연구에 있어서 수시로 제기되는 시기․주제․문체에 대한 특수 문제들을 다룬다.

KOR 838 현대소설특수과제연구III(Special Topics in Modern Novels III) [3]
현대소설의 연구에 있어서 수시로 제기되는 시기․주제․문체에 대한 특수 문제들을 다룬다.

KOR 839 현대비평특수과제연구 III(Special Topics in Modern Criticism III) [3]
현대비평의 연구에 있어서 수시로 제기되는 시기․주제․문체에 대한 특수 문제들을 다룬다.

KOR 840 현대희곡특수과제연구 III(Special Topics in Modern Drama III) [3]
현대희곡의 연구에 있어서 수시로 제기되는 시기․주제․문체에 대한 특수 문제들을 다룬다.

KOR 841 현대문학사세미나 III(Seminar in History of Modern Korean Literature III) [3]
한국현대문학사의 역사적 전개를 개관하고, 그로부터 대두된 문제를 다시 체계화할 수 있는 새로운 관점 및 방법을 구체적으로 연구․검토한다.

KOR 842 현대문학사특수과제연구 III(Special Topics in Modern Literary History III) [3]
한국현대문학사에서 제기되는 특수 과제를 체계화시키고, 새로운 관점 및 방법론을 연구․검토한다.

KOR 920 현대소설연구의쟁점과경향 I(Issues and Trends in Contemporary Novel Researches I) [3]
한국 현대소설에 관한 주요 이론들과 연구 성과들을 살펴보고 이해한다.

KOR 921 한국문학과근대매체연구 I(Study on Modern Korean Literature and Media I) [3]
한국현대문학과 영화, 라디오, 텔레비전, 만화, 애니메이션, 잡지, 출판물, 음반, 공연예술 등 각종 근대 미디어와의 관련양상을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교과목이다.

KOR 922 문학연구와문화연구 I(Literary Scholarship and Cultural Studies I) [3]
이 교과목은 문학연구와 문화연구 사이 소통과 협업을 위한 능력을 키우는 것을 목표로 한다. 두 분야의 이론을 검토하고 실제 성과를 점검하며 각자의 연구 주제를 발굴하는 것이 주된 내용이다.

KOR 923 현대문학이론연구 I(Theory of Modern Literature I) [3]
일반적이고 추상적인 수준에서 문학 이론들의 논리를 검토하고, 구체적이고 특수한 수준에서 문학 이론들의 유효성을 검증한다.

KOR 924 현대시사연구 I(History of Modern Korean Poetry I) [3]
현대시의 연구에 있어서 수시로 제기되는 시기․주제․문체에 대한 특수 문제들을 다룬다.



  • 고전문학

KOR 661 설화문학연구(Study of Folktale) [3]
구비문학 가운데에서 신화․전설․민담의 설화문학을 대상으로 하여, 그 각각의 성격과 상호관계․형태․주제 등을 종합적으로 연구한다.

KOR 663 고려가요연구(Poetry of Goryeo Period) [3]
고려가요의 시학적 특성과 미의식에 관한 쟁점들을 탐구하고 해결의 방안을 모색한다.

KOR 664 시조문학연구(Study of Sijo) [3]
고려 말에 형성되어 현대에까지 계승되고 있는 시조문학을 대상으로 하여 사적 변천, 주제와 미의식, 음악적 특성 등을 종합적으로 연구한다.

KOR 665 가사문학연구(Study of Gasa) [3]
고려 말에 형성되어 일제시대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창작되고 폭넓게 수용된 가사문학을 대상으로 하여, 그 형식과 내용․향유집단․미의식 등을 종합적으로 연구한다.

KOR 666 고전소설연구(Study of Classical Korean Fictions) [3]
한국 고전소설의 전체적 성격을 조명하면서, 개별 유형의 특징을 살피고, 주요 작품의 주제․인물․구조 등을 분석하는 작품론적 연구를 병행한다.

KOR 667 판소리문학연구(Study of Pansori) [3]
구비문학 가운데에서 특수한 위치를 갖고 있는 판소리를 대상으로 하여, 형성과 변천․주제․미의식․음악적 특성 등을 종합적으로 연구한다.

KOR 668 고전문학특수과제연구 I(Special Topics in Classical Literature I) [3]
한국고전문학에 관해 제기될 수 있는 특수한 문제들을 수시로 달리 설정, 연구함으로써 창의적 문제제기와 심도 있는 탐구를 연습한다.

KOR 693 향가․고려가요연구(Study Of Hyangga And Goryeo Gayo) [3]
향가와 고려가요를 대상으로 하여, 형성과 전승, 내용과 주제, 형태적 특성, 미의식 등을 종합적으로 연구한다.

KOR 694 한국민요연구(Study Of Folk Song) [3]
구비 시가문학인 민요를 대상으로 하여, 그 형식과 내용, 전승집단과 미의식 등을 다면적으로 연구한다.

KOR 695 한국무속연구(Study of Korean Shamanism) [3]
한국의 무속 신화, 무속 신앙, 무속 제의 등을 대상으로 그 내용과 변화과정, 전승과 향유의 양상 등을 집중적으로 연구한다.

KOR 696 고전문학의문화론적연구(Cultural Approach To Korean Classical Literature) [3]
한국 사회, 한국 역사, 한국 예술 등 인접 한국 문화를 포괄하는 문화론적 관점에서 고전문학의 본질과 구조를 조명하고 그 특징적 면모를 분석한다.

KOR 697 고전문학과문화콘텐츠(Korean Lassical Literature And Cultural Contents) [3]
고전문학의 문화적 가치를 현대의 시대 상황 속에서 재해석하고, 나아가 문화 콘텐츠로서의 성립 가능성을 탐색한다.

KOR 761 고전시가사연구(History of Classical Korean Poetry) [3]
고대가요로부터 개화기의 시조․가사․잡가에 이르기까지 시가사 전체의 흐름을 조망하면서, 기원․전개․변모․상호관계의 과정을 연구한다.

KOR 762 고전소설사연구(History of Classical Korean Fictions) [3]
한국 고전소설의 형성 시기로부터 조선 말기의 작품에 이르기까지 소설사 전체의 흐름을 조망하면서, 그 전개와 변모, 상호관계의 과정을 연구한다.

KOR 763 고전시가작가연구(Study of Classical Korean Poetry Writers) [3]
고전시가의 작가 중 대표적인 인물들을 선택하여 그의 생애, 사상, 시대배경, 문학적 성과 등을 다면적으로 연구한다.

KOR 764 고전산문작가연구(Study of Classical Korean Fictions Writers) [3]
고전산문의 작가 중 대표적인 인물들을 선택하여 그의 생애, 사상, 시대배경, 문학적 성과 등을 다면적으로 연구한다.

KOR 765 고전문학문헌학(Bibliography of Classical Korean Literature) [3]
문학 연구에 불가결한 기초 작업인 문헌고증, 원전비판 등의 원리를 체득하고 그 구체적 응용의 연습을 통해 엄정한 처리능력을 기른다.

KOR 767 민속극연구(Study of Traditional Performing Art) [3]
탈춤, 인형극 등의 민속극과 연극성을 띤 각종 민속놀이, 굿 등을 대상으로 하여, 한국 전통 연극의 기원, 발전과정, 특징, 의의 등을 연구한다.

KOR 768 고전산문연구(Classical Korean Prose) [3]
고소설 이외의 일체의 고전 산문문학을 대상으로 하여 그 장르, 특징, 흐름, 형식, 내용 등을 연구한다.

KOR 769 고전문학비평연구(Criticism of Classical Literature) [3]
19세기 이전의 한국문학비평을 대상으로 하여 그 이념, 문학이론, 실제비평 등을 해명하고 아울러 문학사적, 미학적 의의를 탐구한다.

KOR 770 고전문학장르연구(Theories of Genre in Classical Literature) [3]
문학적 전통 및 관습을 달리하는 세계의 장르론에 의존하는 현상을 지양하고 국문학의 전 장르를 포섭하면서 효과적인 문학연구의 전망을 열 수 있는 장르 이론을 모색, 토론한다.

KOR 771 고전문학사상및배경연구(Classical Korean Literary Thoughts and Their Backgrounds) [3]
시대 및 문화의 변화에 따른 국문학의 모습을 작품 내외의 사상 및 배경을 중심으로 고찰한다.

KOR 772 고전문학특수과제연구 II(Special Topics in Classical Literature II) [3]
한국고전문학에 관해 제기될 수 있는 특수한 문제들을 수시로 달리 설정, 연구함으로써 창의적 문제제기와 심도 있는 탐구를 연습한다.

KOR 773 고전시가론세미나 I(Seminar in Classical Korean Poetry I) [3]
고전시가 연구에 있어서 특정한 주제 혹은 사안을 중점적으로 토론․연구한다.

KOR 774 고전시가론세미나 II(Seminar in Classical Korean Poetry II) [3]
고전시가 연구에 있어서 특정한 주제 혹은 사안을 중점적으로 토론․연구한다.

KOR 775 고전소설론세미나(Seminar in Classical Korean Fictions) [3]
고전소설 연구에 있어서 특정한 주제 혹은 사안을 중점적으로 토론․연구한다.

KOR 776 고전시가이론연구(Theory of Classical Korean Poetry) [3]
고전시가 연구 방법론으로부터 개별 작품 및 유형의 이론적 문제에 대하여 토론․연구한다.

KOR 777 고전소설이론연구(Theory of Classical Korean Fictions) [3]
고전소설 연구 방법론으로부터 개별 작품 및 유형의 이론적 문제에 대하여 토론․연구한다.

KOR 778 고전시가와현대시(Classical Korean Poetry and Modern Poetry) [3]
고전시가와 현대시의 상호 관련성의 문제를 한국문학의 연속성의 입장에서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연구한다.

KOR 779 고전시가와전통예술(Classical Korean Poetry and Traditional Art) [3]
고전시가와 전통예술의 상호 관련성의 문제를 탐구함으로써 고전시가에 대한 보다 심화된 이해를 도모한다.

KOR 780 고전문학사세미나(Seminar in History of Classical Korean Literature) [3]
고전문학사 전개 과정에 있어서의 여러 논점에 대하여 종합적으로 토론하고 연구한다.

KOR 861 한국민속학연구(Korean Folklore) [3]
한국문학과 문화의 기저를 이루고 있는 민속 전반을 심층적으로 연구하여, 새로운 이해의 가능성을 모색한다.

KOR 862 고전시가운율론(Rhythm of Classical Poetry) [3]
고전시가 전반을 대상으로 하여, 율격과 운, 음상, 시행의 배열과 결합 등 운율에 관한 제반 문제를 종합적으로 연구한다.

KOR 863 고전문예이론연구(Theory of Classical Literature Art) [3]
근대이전 시기까지 존재하였던 한국고전문예에 관한 사유들을 이론화하고 체계화하는 방향을 모색한다.

KOR 864 고전문학문체론(Stylistics of Classical Korean Literature) [3]
고전문학의 제 장르에 나타난 문체적 특성을 분석하고 시대적 추이를 탐구한다.

KOR 865 고전문학과인접예술(Classical Korean Literature and Related Art) [3]
한국 고전문학의 형성과 전개 과정에 있어 밀접한 연관이 있는 인접 예술의 제반 양상을 상호적 관계 속에서 고찰한다.

KOR 866 고전문학연구사(History of Research in Classical Literature) [3]
국문학에 관한 연구의 흐름을 그 초기에서부터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긍정적 성과와 문제점들을 논함으로써 전진적 연구의 전망을 추구한다.

KOR 867 한국고전문학의이론(Theory of Classical Korean Literature) [3]
한국 고전문학을 연구하는 데에 유용한 다양한 이론을 제시하여, 이를 고전문학 작품에 적용하는 방법론적 모색을 도모한다.

KOR 868 한국고전문학과아세아문학(Classical Korean Literature and Asian Literature) [3]
한국 고전문학의 형성과 전개 과정에 있어 영향과 수용의 관계에 있는 인도, 중국, 일본 등 아세아 문학과의 상호 관련성을 연구한다.

KOR 869 고전문학특수과제연구III(Special Topics in Classical Literature III) [3]
한국고전문학에 관해 제기될 수 있는 특수한 문제들을 수시로 달리 설정, 연구함으로써 창의적 문제제기와 심도 있는 탐구를 연습한다.

KOR 870 고전문학특수과제연구IV(Special Topics in Classical Literature IV) [3]
한국고전문학에 관해 제기될 수 있는 특수한 문제들을 수시로 달리 설정, 연구함으로써 창의적 문제제기와 심도 있는 탐구를 연습한다.

KOR 871 나려시대산문·소설연구(Fictions of Silla and Goryeo Period) [3]
삼국시대로부터 고려 말까지의 주요 산문 및 소설 작품을 이 시기의 역사 현실 및 사상의 추이 등과 관련하여 다각도로 탐색․해명한다.

KOR 872 조선전기소설연구(Fictions of Early Joseon Period) [3]
15세기부터 16세기말까지의 주요 소설 작가 및 작품을 이 시기의 역사 현실 및 사상의 추이 등과 관련하여 다각도로 탐색․해명한다.

KOR 873 조선후기소설연구(Fictions of Late Joseon Period) [3]
17세기 이후의 주요 소설 작가 및 작품을 이 시기의 역사 현실 및 사상의 추이 등과 관련하여 다각도로 탐색․해명한다.

KOR 874 근대계몽기시가연구(Poetry of Enlightenment Period) [3]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에 이르는 기간 동안에 산출된 시가 작품을 이 시기의 역사 현실 및 사상의 추이 등과 관련하여 다각도로 탐색․해명한다.

KOR 875 근대계몽기산문·소설연구(Fictions of Enlightenment Period) [3]
19세기말에서 20세기초에 이르는 기간 동안에 산출된 산문 및 소설 작품을 이 시기의 역사 현실 및 사상의 추이 등과 관련하여 다각도로 탐색․해명한다.



  • 한문학

KOR 682 한문학서지(Bibliography of Korean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3]
한국한문학의 작품이나 작가 연구의 기초로서 문헌자료에 대한 서지학적 이해를 갖게 한다.

KOR 683 한문소설연구(Korean Fictions in Classical Chinese) [3]
장단형의 창작소설을 위시하여 소설사와 관계가 깊은 문헌설화와 전기까지를 대상으로 하며, 어떤 방법적 과정을 거치든 궁극적으로는 작품의 의식사적 파악에 유의한다.

KOR 684 한국시화연구(Critics on Korean Poetry in Classical Chinese) [3]
한국의 시화들을 검토하여 시에 대한 선인들의 비평 양상과 비평용어의 의미를 밝히고 그 문학관 혹은 문학론의 체계적 파악의 모색을 자극한다.

KOR 685 나려한문학연구(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of Silla and Goryeo Period) [3]
한문학 이식 초기로서의 삼국시대를 포함하여 통일신라기에서 고려 말까지의 한문학 주요 작품, 작가 및 기타 문학적 현상 및 이들의 상호 관련의 양상과 그 인과, 의미 등을 특히 이 시기의 역사, 사상의 추이 등과의 관련에 유의하면서 해명, 제시한다.

KOR 686 조선전기한문학연구 I(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of Early Joseon Period I) [3]
15세기에서 16세기 초까지의 한문학의 주요 작가, 작품 및 기타 문학적 현상 및 이들의 상호 관련의 양상과 인과, 의미 등을 특히 이 시기의 역사현실, 사상의 추이 등과의 관련에 유의하면서 해명, 제시한다.

KOR 687 조선후기한문학연구 I(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of Late Joseon Period I) [3]
17세기에서 20세기 초까지의 한문학의 주요 작가, 작품 및 기타 문학적 현상 및 이들의 상호 관련의 양상과 인과, 의미 등을 특히 이 시기의 역사현실, 사상의 추이 등과의 관련에 유의하면서 해명, 제시한다.

KOR 688 한문학특수과제연구 I(Topics in Korean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I) [3]
한국한문학 연구에 필요한 특수 과제들을 수시로 달리 설정․연구하여 심층적 탐구를 연습한다.

KOR 698 한문교육사연구(History of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3]
전통시대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한문교육의 사적 흐름을 살피면서 그 시대적 의의를 연구한다.

KOR 699 한문문법론연구(Classical Chinese Grammar) [3]
한문 문법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그 연구 성과와 문제점을 분석․검토한다.

KOR 783 한문학작가연구 I(Korean Writers in Classical Chinese I) [3]
특정 작가를 선정, 해당 작가에 대해 포괄적으로 접근하되 궁극적으로는 해당 작가의 문학사상을 구조적으로 제시하고 그 사적 위치와 의미를 부여해 보인다.

KOR 784 조선후기한문학연구 II(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of Late Joseon Period II) [3]
17세기에서 20세기 초까지의 한문학의 주요 작가, 작품 및 기타 문학적 현상 및 이들의 상호 관련의 양상과 인과, 의미 등을 특히 이 시기의 역사현실, 사상의 추이 등과의 관련에 유의하면서 해명, 제시한다.

KOR 785 한말일제기한문학연구(Classical Chinese of Last Joseon Period) [3]
한문학 쇠퇴기인 구한말과 일제 암흑기에 창출된 한문학 유산을 새롭게 조명하여 문체와 내용의 특성을 살핀다.

KOR 786 한시연구(Korean Poetry in Classical Chinese) [3]
한국 한문학 연구에 있어서 필수적인 한시들을 강독하고 내용해설도 교수한다.

KOR 787 한문학산문연구(Korean Prose in Classical Chinese) [3]
한국한문학 중의 소설류를 제외한 서․기․서․설 등 일반산문을 문학적으로 접근한다.

KOR 788 한국속문학연구(Vulgar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3]
한문학 작품 가운데 야담․골계․필기소설․희작한시 등을 강독하고 내용해설도 교수한다.

KOR 789 사부문학연구(Ci and Fu Literature in Korea) [3]
한국사부 연구의 방법적 모색을 자극하고, 어떤 방법적 과정을 거치든 궁극적으로는 작품의 정신적 파악에 유의한다.

KOR 790 한문학비평사연구 I(History of Korean Literary Criticism in Classical Chinese I) [3]
한국한문학사의 각 단계에 산출 또는 중국으로부터 수용된 문학비평의 양상을 밝히고 그 사적 전개의 체계적 파악의 모색을 자극한다.

KOR 793 한문학특수과제연구 II(Topics in Korean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II) [3]
한국한문학 연구에 필요한 특수한 과제들을 수시로 달리 설정․연구하여 심층적 탐구를 연습한다.

KOR 794 한국한시세미나 I(Seminar in Korean Poetry in Classical Chinese I) [3]
한국한시에 있어서의 특정한 과제를 주제로 하여 이를 중점적으로 분석․검토한다.

KOR 795 한국한시세미나 II(Seminar in Korean Poetry in Classical Chinese II) [3]
한국한시에 있어서의 특정한 과제를 주제로 하여 이를 중점적으로 분석․검토한다.

KOR 796 한국한문산문세미나 I(Seminar in Korean Prose in Classical Chinese I) [3]
한국한문산문에 있어서의 특정한 과제를 주제로 하여 이를 중점적으로 분석․검토한다.

KOR 797 한국한문산문세미나 II(Seminar in Korean Prose in Classical Chinese II) [3]
한국한문산문에 있어서의 특정한 과제를 주제로 하여 이를 중점적으로 분석․검토한다.

KOR 800 한문소설비평연구(Critics on Korean Novels in Classical Chinese) [3]
한문소설 일반 및 실제 작품에 대한 다양한 비평적 논의들을 체계적으로 파악함으로써, 한국한문소설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도록 한다.

KOR 884 한시사연구(History of Korean Poetry in Classical Chinese) [3]
한국 한시의 전개․변모 등 사적 흐름을 살피면서 시대적 연관을 연구한다.

KOR 885 한문소설사연구 I(History of Korean Novels in Classical Chinese I) [3]
한문소설의 기원․발생․전개․변모 등 사적 흐름을 살피면서 시대적 연관을 연구한다.

KOR 886 한문학이론(Theory of Classical Chinese) [3]
한국 한문학 전개과정에서 중국으로부터 수용한 이론과 우리 한문학에서 자생한 문학이론을 체계적으로 파악하여 논의한다.

KOR 887 경학사연구(History of the Study of Confucian Classics) [3]
중국의 경학사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 제설들을 검토하고 한국의 경학사와 비교하여 그 특징을 탐색한다.

KOR 888 한문학문체론(Classical Chinese Stylistics) [3]
한문 일반의 체례, 개관을 보이고 특히 문학적인 체례에 중점을 두되 한국한문학의 장르 양상의 이해에 주안을 둔다.

KOR 889 한문학미학론(Aesthetics of Korean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3]
한문학에 기초한 보편적 미학의 체계화와 그 특수성 및 한국한문학 특유의 미학적 원리를 탐색한다.

KOR 892 조선전기한문학연구 II(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of Early Joseon Period II) [3]
15세기에서 16세기 초까지의 한문학의 주요 작가, 작품 및 기타 문학적 현상 및 이들의 상호 관련의 양상과 인과, 의미 등을 특히 이 시기의 역사 현실, 사상의 추이 등과의 관련에 유의하면서 해명․제시한다.

KOR 893 한시연구 II(Korean Poetry in Classical Chinese II) [3]
한국 한문학 연구에 있어서 필수적인 한시들을 강독하고 내용 해설도 교수한다.

KOR 894 한문학비평사연구 II(History of Korean Literary Criticism in Classical Chinese II) [3]
한국한문사의 각 단계에 산출 또는 중국으로부터 수용된 문학비평의 양상을 밝히고 그 사적 전개의 체계적 파악을 모색한다.

KOR 895 한문소설사연구 II(History of Korean Novels in Classical Chinese II) [3]
한문소설의 기원, 발생, 전개, 변모 등 사적 흐름을 살피면서 시대적 연관을 연구한다.

KOR 896 한문학과 도학(Korean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and Neo-Confucianism) [3]
한문학과 도학의 관련 양상을 고구함으로써 한국의 전통적 정신문화에 대한 인식을 심화하도록 한다.

KOR 900 한문학비평세미나(Seminar in Classical Chinese Literary Criticism) [3]
한문학비평의 특정한 과제를 주제로 하여 이를 중점적으로 분석․검토한다.

KOR 901 한문학비평특수과제연구(Topics in Classical Chinese Literary Criticism) [3]
한문학비평 연구에 필요한 특수한 과제들을 수시로 달리 설정․연구하여 심층적 탐구를 연습한다.

KOR 902 한문교육론세미나(Seminar in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3]
한문교육의 특정한 과제를 주제로 하여 이를 중점적으로 분석․검토한다.

KOR 903 한문교육특수과제연구(Topics in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3]
한문교육 연구에 필요한 특수한 과제들을 수시로 달리 설정․연구하여 심층적 탐구를 연습한다.

KOR 904 한문문법세미나(Seminar in Classical Chinese Grammar) [3]
한문 문법의 특정한 과제를 주제로 하여 이를 분석․검토한다.

KOR 905 한문문법특수과제연구(Topics in Classical Chinese Grammar) [3]
한문 문법 연구에 필요한 특수한 과제들을 수시로 달리 설정․연구하여 심층적 탐구를 연습한다.

KOR 906 동아시아문학과한국한문학세미나(Seminar in East Asian Literature and Korean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3]
동아시아 문학과 한국한문학의 특정한 과제를 주제로 하여 이를 중점적으로 분석․검토한다.

KOR 907 동아시아문화교류와한국한문학연구(Korean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and Cultural Interchange in East Asian) [3]
한국한문학을 동아시아 문화교류의 관점에서 심층 분석․탐구한다.

KOR 908 경서특강 (The Classics) [3]
경서 중 특히 문학과 관련이 깊은 『시경』등을 선정하여 강독과 아울러 내용 해설도 교수한다.

KOR 909 제자특강 (Topics in Masters Works in Pre-Qin) [3]
제자서 중 특히 문학과 관계 깊은 『장자』등을 선정하여 강독과 아울러 내용 해설도 교수한다.

KOR 910 한문고전문헌학 (Bibliography of Classical Korean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3]
한문고전문헌학의 형태 서지와 내용 서지를 소개하고, 한문고전문헌의 성립과 유통에 대한 지식을 강의하여, 한문고전에 대한 본격적 연구에 응용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KOR 911 고한자연구 (Study of Chinese Paleograghy) [3]
고한자의 생성과 변천 과정에 대한 연구를 통해 한자에 대한 이해를 높이도록 한다.



  • 한국어문화교육학

KOR 601 국어음운론연구(Introduction to Korean Phonology) [3]
국어의 음운론에 대한 전반적인 연구 방법을 학습한다.

KOR 602 국어형태론연구(Introduction to Korean Morphology) [3]
국어의 형태론에 대한 전반적인 연구 방법을 학습한다.

KOR 603 국어구문론연구(Introduction to Korean Syntax) [3]
국어의 구문론에 대한 전반적인 연구 방법을 학습한다.

KOR 604 국어의미론연구(Introduction to Korean Semantics) [3]
국어의 의미론에 대한 전반적인 연구 방법을 학습한다.

KOR 605 국어사연구(Research on History of Korean) [3]
국어사론을 통사적으로 개관하고, 이설로 대립된 그 과제의 본질 및 해결방법에 대하여 선별적으로 검토, 연구한다.

KOR 606 현대국어어휘론연구(Contemporary Korean Lexicology) [3]
현대국어의 어휘 의미에 대한 이론적 연구 방법을 학습한다.

KOR 607 국어방언론연구(Introduction to Korean Dialectology) [3]
국어방언론사를 체계적으로 개관하고, 이설로 대립된 그 과제의 본질 및 해결방법에 대하여 선별적으로 검토, 연구한다.

KOR 608 국어교육론연구(Introduction to Korean Teaching) [3]
국어를 대상으로 한 교육론을 살피고, 그 발전 방안을 모색한다.

KOR 609 국어화용론연구(Introduction to Korean Pragmatics) [3]
화용론의 이론적 발전을 살피고, 국어에서의 발화를 대상으로 이를 적용, 분석한다.

KOR 610 국어정책론연구(Introduction to Korean Language Policy) [3]
국어에 관한 정책의 흐름을 개관하고, 현재의 국어정책을 살핀다.

KOR 611 국어전산학연구(Korean Computational Linguistics) [3]
컴퓨터와 국어학을 결합한 이론을 탐구하고, 실질적인 응용방안을 탐구한다.

KOR 612 국어학선독 I(Selected Readings in Korean Linguistics I) [3]
현대 국어학 연구논문 중에서 중요한 것을 선택하여 강독하고 토의한다.

KOR 613 국어학연습 I(Korean Linguistics Seminar I) [3]
국어학에 관한 연구성과를 분야별로 검토하며, 문제점과 그 해결방안을 연구․논의한다.

KOR 614 국어학특수과제연구 I(Special Topics in Korean Linguistics I) [3]
국어학에 관한 특수과제를 주제로 하여 그 연구사를 체계적으로 개관하고, 그 과제의 본질을 구명하여 해결을 도모한다.

KOR 615 국어학응용과제연구 I(Applied Topics in Korean Linguistics I) [3]
국어학의 지식을 이용하여 응용방안을 모색한다.

KOR 616 한국어학연구(Introduction to Korean Linguistics) [3]
한국어학에 관해 전반적으로 개관하고, 한국어의 음운론, 형태론, 통사론, 의미론의 주요 사항들을 다룬다.

KOR 617 한국문학연구(Introduction to Korean Literature) [3]
한국문학의 전체적 윤곽과 특질을 파악하고 주요 작품을 분석하여 한국문학 각 부분의 균형 있게 이해한다.

KOR 618 한국어교육학연구(Introduction to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3]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의 원리, 목표, 내용, 교수-학습 방법, 평가에 대한 이론들을 총괄적으로 논의한다.

KOR 619 한국어표현교육론연구(Studies on Teaching Productive Skills in Korean: speaking & writing) [3]
한국어 말하기․쓰기 교육에 관한 일반 이론을 살펴보고, 효율적인 한국어 말하기․쓰기 교육 방안을 모색한다.

KOR 620 한국어이해교육론연구(Studies on Teaching Comprehensive Skills in Korean: listening & reading) [3]
듣기․읽기 교육에 관한 일반 이론을 살펴보고, 효율적인 한국어 듣기․읽기 교육 방안을 모색한다.

KOR 621 한국어문법교육론연구(Studies on Korean Pedagogical Grammar) [3]
한국어 형태론과 통사론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국어 문법 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모색한다.

KOR 622 한국어어휘교육론연구(Studies on Teaching Vocabulary in Korean) [3]
한국어 어휘 의미와 화용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국어 어휘 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모색한다.

KOR 623 한국어발음교육론연구(Studies on Teaching Pronunciation in Korean) [3]
한국어 음운론과 음성학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국어 발음 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모색한다.

KOR 624 한국어교육과정론연구(Studies on Curriculum Design in Teaching Korean) [3]
외국어 교육과정에 대한 이론들을 섭렵하고,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목적, 교육 상황, 학습자 변인을 고려한 교육과정의 개발을 시도한다.

KOR 625 한국어지도론연구(Practicum in Korean Language Classrooms) [3]
교구 및 교안 작성법을 연구하고 이를 실제 한국어 교육현장에서 실행해 봄으로써 한국어 교육의 이론과 실제를 경험한다.

KOR 626 한국문화교육론연구(Studies on Teaching Korean Culture) [3]
한국 문화 및 한국 사회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국 문화 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모색한다.

KOR 627 대조언어학연구(Studies on Comparative Linguistics) [3]
언어 간 비교 분석 방법을 검토하고 한국어와 타 언어의 구조를 대조 분석하여, 언어권 별 학습자에게 효율적인 한국어 교육 방안을 모색한다.

KOR 628 응용한국어학연구(Studies on Applied Korean Linguistics) [3]
순수 국어학 분야에서 다루기 어려운 실제적인 문제들을 검토․분석하고, 그 이론을 연구한다.

KOR 629 한국현대문화론연구(Studies on Contemporary Korean Culture) [3]
한국 현대 사회와 문화에 대해 개관하고 그 배경을 탐구하여, 한국 문화 교육의 기초를 마련한다.

KOR 630 한국어문화교육학특수과제연구 1(Special Topics in Teaching Korean Language and Culture as a Foreign Language 1) [3]
한국어문화 교육학에서 제기되는 특수 과제를 체계화시키고, 새로운 관점 및 방법을 구체적으로 연구․검토한다.

KOR 632 현대작가론연구(Study of Modern Writers) [3]
정확한 서지에 근거하여 작가 또는 작가들의 집단을 연구하며, 문화 배경에 대한 고려와 연구사 검토에 유의한다.

KOR 633 현대한국시연구 I(Study of Modern Korean Poetry I) [3]
중요한 현대시인들의 작품을 실제로 분석함으로써 현대시의 형식적 양상과 역사적 전통을 연구한다.

KOR 634 현대한국소설연구 I(Study of Modern Korean Novels I) [3]
구조, 성격, 문체, 시점 등의 비교 분석, 선택된 본문을 통한 주제 분석 등 소설의 이론에 관한 문제를 다룬다.

KOR 635 현대한국희곡연구(Study of Modern Korean Drama) [3]
20세기 전반기에 발표된 희곡을 대상으로 희곡의 언어, 구조, 사상을 연구한다.

KOR 636 전기현대문학연구(Early Modern Korean Literature: 1890-1920) [3]
20세기 초두의 시, 소설과 기타 산문을 지성적 배경과 문화적상황에 비추어 검토하며, 이광수와 최남선의 작품을 특히 중점적으로 분석한다.

KOR 637 현대시론세미나 I(Seminar in Modern Korean Poetry I) [3]
한국현대시의 형태에 대하여 그 기원과 전개를 살펴보고, 연구사를 비판적으로 고찰하여 문제점을 찾아낸다.

KOR 638 시학이론연구 I(Study of Poetic Theory I) [3]
동서 고전시학에서부터 현대시학에 이르는 여러 이론들을 검토하고, 그 미학적 기초를 연구한다.

KOR 639 현대소설론세미나 I(Seminar in Modern Korean Novels I) [3]
중요한 본문의 분석, 서사양식의 본질과 한계 등을 검토하며, 특히 연구사 비판에 중점을 둔다.

KOR 640 현대비평론세미나 I(Seminar in Modern Korean Criticism I) [3]
20세기 한국 문학비평의 유형, 유파, 방법 등에 대하여 검토하며, 특히 비평론문의 작성을 통한 실습에 중점을 둔다.

KOR 641 현대문학특수과제연구 I(Special Topics in Modern Literature I) [3]
현대한국문학사의 역사적 전개를 개관하고, 그로부터 대두된 문제를 다시 체계화할 수 있는 새로운 관점 및 방법을 구체적으로 연구․검토한다.

KOR 642 현대시특수과제연구 I(Special Topics in Modern Poetry I) [3]
현대한국시사의 역사적 전개를 개관하고, 그로부터 대두된 문제를 다시 체계화할 수 있는 새로운 관점 및 방법을 구체적으로 연구․검토한다.

KOR 643 현대소설특수과제연구 I(Special Topics in Modern Novels I) [3]
현대한국소설사의 역사적 전개를 개관하고, 그로부터 대두된 문제를 다시 체계화할 수 있는 새로운 관점 및 방법을 구체적으로 연구․검토한다.

KOR 644 현대비평특수과제연구 I(Special Topics in Modern Criticism I) [3]
현대한국비평사의 역사적 전개를 개관하고, 그로부터 대두된 문제를 다시 체계화할 수 있는 새로운 관점 및 방법을 구체적으로 연구․검토한다.

KOR 645 현대희곡특수과제연구 I(Special Topics in Modern Drama I) [3]
현대한국희곡사의 역사적 전개를 개관하고, 그로부터 대두된 문제를 다시 체계화할 수 있는 새로운 관점 및 방법을 구체적으로 연구․검토한다.

KOR 646 현대문학사세미나 I(History of Modern Korean Literature I) [3]
한국현대문학사의 역사적 전개를 개관하고, 그로부터 대두된 문제를 다시 체계화할 수 있는 새로운 관점 및 방법을 구체적으로 연구․검토한다.

KOR 647 현대문학사특수과제연구 I(Special Topics in Modern Literary History I) [3]
한국현대문학사에서 제기되는 특수과제를 체계화시키고, 새로운 관점 및 방법론을 연구․검토한다.

KOR 661 설화문학연구(Study of Folktale) [3]
구비문학 가운데에서 신화, 전설, 민담의 설화문학을 대상으로 하여, 그 각각의 성격과 상호관계, 형태, 주제 등을 종합적으로 연구한다.

KOR 664 시조문학연구(Study of Sijo Poetry) [3]
고려 말에 형성되어 현대에까지 계승되고 있는 시조문학을 대상으로 하여 사적 편찬, 주제와 미의식, 음악적 특성 등을 종합적으로 연구한다.

KOR 665 가사문학연구(Study of Gasa) [3]
고려 말에 형성되어 일제시대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창작되고 폭넓게 수용된 가사문학을 대상으로 하여, 그 형식과 내용, 향유집단, 미의식 등을 종합적으로 연구한다.

KOR 666 고전소설연구(Study of Classical Korean Fictions) [3]
한국 고전소설의 전체적 성격을 조명하면서, 개별 유형의 특징을 살피고, 주요 작품의 주제, 인물, 구조 등을 분석하는 작품론적 연구를 병행한다.

KOR 667 판소리문학연구(Study of Pansori) [3]
구비문학 가운데에서 특수한 위치를 갖고 있는 판소리를 대상으로 하여, 형성과 변천, 주제, 미의식, 음악적 특성 등을 종합적으로 연구한다.

KOR 668 고전문학특수과제연구 I(Special Topics in Classical Literature I) [3]
한국고전문학에 관해 제기될 수 있는 특수한 문제들을 수시로 달리 설정, 연구함으로써 창의적 문제제기와 심도 있는 탐구를 연습한다.

KOR 690 국어구어연구(Spoken Korean Seminar) [3]
한국어 구어를 연구 대상으로 구어의 음운론적, 문법론적, 의미론적 특징을 알아본다.

KOR 691 국어습득연구(Seminar on Korean Language Acquisition) [3]
한국어 화자들의 모국어 습득이 어떠한 과정을 통하여 일어나는지 알아본다.

KOR 692 국어학과언어병리학(Korean Linguistics and Language Pathology) [3]
언어병리학 분야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국어학이 언어병리학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본다.

KOR 708 국어내용론연구(Theory of Korean Contents) [3]
국어에서 체계적으로 분절되어 있는 내용을 탐구한다.

KOR 709 국어문체론연구(Introduction to Korean Stylistics) [3]
문체론에 관한 언어학적 이론들을 개관하고, 이를 바탕으로 고전 및 현대국어의 작품들을 연구, 분석한다.

KOR 710 국어음성학연구(Introduction to Korean Phonetics) [3]
국어를 대상으로 하여 음성학 전반의 이론을 탐구하고, 발전 방안을 모색한다.

KOR 711 현대국어음운론연구(Contemporary Korean Phonology) [3]
현대국어를 대상으로 연구한 음운론을 개관하고, 이로부터 제기되는 문제점을 집중적으로 검토, 연구한다.

KOR 712 현대국어형태론연구(Contemporary Korean Morphology) [3]
현대국어를 대상으로 연구한 형태론을 개관하고, 이로부터 제기되는 문제점을 집중적으로 검토, 연구한다.

KOR 713 현대국어구문론연구(Contemporary Korean Syntax) [3]
현대국어를 대상으로 연구한 구문론을 개관하고, 이로부터 제기되는 문제점을 집중적으로 검토, 연구한다.

KOR 714 현대국어의미론연구(Contemporary Korean Semantics) [3]
현대국어를 대상으로 연구한 의미론을 개관하고, 이로부터 제기되는 문제점을 집중적으로 검토, 연구한다.

KOR 715 국어문자론연구(Introduction to Korean Grammatology) [3]
국어를 대상으로 문자론의 전반적인 연구를 살피고, 발전 방안을 모색한다.

KOR 717 사회국어학연구(Introduction to Korean Sociolinguistics) [3]
국어 전반을 대상으로 한 사회언어학 이론을 탐구하고, 이로부터 제기되는 문제점을 집중적으로 검토, 연구한다.

KOR 718 국어정보학(Korean Informatics) [3]
국어를 이용하여 전달되는 정보를 분석하고, 이로부터 제기되는 문제점을 집중적으로 검토, 연구한다.

KOR 722 국어학응용과제연구 II(Applied Topics in Korean Linguistics II) [3]
국어학의 지식을 이용하여 응용방안을 모색한다.

KOR 723 한국어교재론연구(Studies on Korean Textbook Development) [3]
한국어 교재 개발 이론과 원리를 탐구하고 한국어 교재를 검토․분석하여, 교육 목적 및 학습자, 교육 환경 변인에 따른 교재 개발 방안을 모색한다.

KOR 724 한국어한자교육론연구(Studies on Teaching Chinese Characters) [3]
한자어와 한자 교육의 필요성을 검토하고, 어휘력 확장과 이해 능력 제고에 기여할 수 있는 한자어와 한자 교육 방안을 모색한다.

KOR 725 한국어평가론연구(Studies on Test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3]
외국어 능력 평가에 관한 이론을 바탕으로, 한국어 능력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KOR 726 한국어교육정책론연구(Studies on Language Teaching Policy) [3]
한국어 교육에 관한 정책의 흐름을 시기별, 지역별로 개관하고, 향후 한국어교육 정책 수립의 방향을 모색한다.

KOR 727 한국어문화교육학방법론연구(Studies on Research Design for Teaching Korean Language and Culture) [3]
한국어문화교육학 연구 내용 및 연구 방법 선정 방안, 실험 연구에 필요한 통계적 분석 방법 등을 검토하여, 타당도와 신뢰도를 갖춘 연구의 기초를 마련한다.

KOR 728 외국어교수법연구(Studies on Theories of Foreign/Second Language Teaching) [3]
제2언어나 외국어 교수-학습에 관한 최신 이론을 검토․분석하고 한국어 교육에의 적용 방안을 모색한다.

KOR 729 한국어문화교육학특수과제연구 2(Special Topics in Teaching Korean Language and Culture as a Foreign Language 2) [3]
한국어문화교육학에서 제기되는 특수 과제를 체계화시키고, 새로운 관점 및 방법을 구체적으로 연구․검토한다.

KOR 801 국어음운이론연구(Korean Phonological Theory) [3]
음운이론의 전반적인 연구를 살펴보고, 국어와 관련지어 제기되는 문제점을 집중적으로 검토, 연구한다.

KOR 802 국어형태이론연구(Korean Morphological Theory) [3]
형태이론의 전반적인 연구를 살펴보고, 국어와 관련지어 제기되는 문제점을 집중적으로 검토, 연구한다.

KOR 803 국어구문이론연구(Korean Syntactic Theory) [3]
구문이론의 전반적인 연구를 살펴보고, 국어와 관련지어 제기되는 문제점을 집중적으로 검토, 연구한다.

KOR 804 국어의미이론연구(Korean Semantic Theory) [3]
의미이론의 전반적인 연구를 살펴보고, 국어와 관련지어 제기되는 문제점을 집중적으로 검토, 연구한다.

KOR 805 국어음운사연구(Korean Historical Phonology) [3]
국어사의 전반적인 흐름 속에서 국어음운의 변화를 중심으로 검토, 연구한다.

KOR 806 국어문법사연구(Korean Historical Grammar) [3]
국어사의 전반적인 흐름 속에서 국어문법의 변화를 중심으로 검토, 연구한다.

KOR 807 국어의미사연구(Korean Historical Semantics) [3]
국어사의 전반적인 흐름 속에서 국어의미의 변화를 중심으로 검토, 연구한다.

KOR 809 국어계통론연구(Typology of Korean) [3]
국어계통론사를 체계적으로 개관하고, 이설로 대립된 그 과제의 본질 및 해결방법에 대하여 선별적으로 검토, 연구한다.

KOR 810 남북한국어학연구(Korean Linguistics in South and North Korea) [3]
앞으로의 남북통일시대를 대비하여 남한과 북한의 언어의 전반적인 모습을 살피고, 발전 방안을 모색한다.

KOR 811 국어차자표기연구(Introduction to Korean Transcription) [3]
국어사와 국어학사의 전반적인 흐름 속에서 차자표기의 역사를 살피고, 이로부터 제기되는 문제점을 집중적으로 검토․연구한다.

KOR 812 국어사자료연구(Materials in Diachronic Korean Linguistics) [3]
국어의 통시적 연구에서 중요한 문헌자료를 서지적으로 고찰하고 그 국어학적 가치를 논한다.

KOR 813 사전편찬론연구(Introduction to Lexicography) [3]
사전편찬이론의 전반적인 모습을 살피고, 21세기를 맞이하여 보다 발전된 사전편찬 방안을 모색한다.

KOR 814 국어학선독 III(Selected Readings in Korean Linguistics III) [3]
현대 국어학 연구논문 중에서 중요한 것을 선택하여 강독하고 토의한다.

KOR 815 국어학연습 III(Korean Linguistics Seminar III) [3]
국어학에 관한 연구 성과를 분야별로 검토하며, 문제점과 그 해결방안을 연구․논의한다.

KOR 816 국어학특수과제연구 III(Special Topics in Korean Linguistics III) [3]
국어학에 관한 특수 과제를 주제로 하여 그 연구사를 체계적으로 개관하고, 그 과제의 본질을 구명하여 해결을 도모한다.

KOR 817 국어학응용과제연구 III(Applied Topics in Korean Linguistics III) [3]
국어학의 지식을 이용하여 응용방안을 모색한다.

KOR 818 한국어교재구성론연구(Research on Various Instructional Media Development in Korean Teaching Materials) [3]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한국어문화교육용 교재의 구성 원리를 살펴보고, 실제 교재 구성 활동을 통해 효율적인 교재 구성 방안을 모색한다.

KOR 819 한국문학교육론연구(Research on Pedagogical Issues in Teaching Korean Literature) [3]
한국문학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국문학 작품을 이용한 한국어 및 한국 문화 교육 방안을 모색한다.

KOR 820 한국어교육사연구(Research on History of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3]
근대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국내외에서의 한국어 교육의 원리와 방법의 흐름을 조망한다.

KOR 821 한국어문화교육학사연구(Seminar on History of Teaching Korean Language and Culture Research) [3]
한국어문화교육에 관한 연구의 동향을 전체적으로 검토하여 시기별 특성을 분석하고 발전 방향을 모색한다.

KOR 822 한국어담화분석론연구(Research on Korean Discourse Analysis) [3]
다양한 구어 담화와 문어 텍스트를 분석하여 미시장르별로 구분되는 담화 구조와 표현, 격식의 차이를 탐구한다.

KOR 823 언어민족지학연구(Research on Ethnography for Language Education) [3]
언어사용과 사회적, 문화적 가치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언어민족지학의 일반이론들을 분석, 비판하고 한국어의사소통 민족지학을 정립한다.

KOR 824 이중언어학연구(Research on Bilingual Education) [3]
언어습득과 언어발달 이론을 살펴보고, 한국어 교수-학습의 효율성 제고 방안을 모색한다.

KOR 825 외국어습득론연구(Research on Foreign/Second Language Acquisition) [3]
외국어 습득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생리적 요인을 살펴보고, 언어 습득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언어 발달 양상을 검토․분석한다.

KOR 826 한국사회사연구(Research on History of Korean Society) [3]
한국사회의 사적 변화의 흐름을 사회학적 시각으로 연구 분석하여, 한국 사회에 대한 이해를 넓힌다.

KOR 827 한국전통문화론연구(Research on Traditional Korean Culture) [3]
한국 전통 사회와 문화에 대해 개관하고 그 배경을 탐구하여, 한국 문화 교육의 기초를 마련한다.

KOR 828 한국어문화교육학특수과제연구 3(Special Topics in Teaching Korean Language and Culture as a Foreign Language 3) [3]
한국어문화 교육학에서 제기되는 특수 과제를 체계화시키고, 새로운 관점 및 방법을 구체적으로 연구․검토한다.

KOR 861 한국민속학연구(Korean Folklore) [3]
한국문학과 문화의 기저를 이루고 있는 민속 전반을 심층적으로 연구하여, 새로운 이해의 가능성을 모색한다.

KOR 912 한국어교육실습(Practicum in Korean Language Classrooms) [3]
교구 및 교안 작성법을 연구하고 이를 실제 한국어 교육현장에서 실행해 봄으로써 한국어 교육의 이론과 실제를 경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