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대학교 문과대학교

QUICK MENU
  • 로그인
  • 사이트맵
  • 고려대학교
  • KUPID
  • English

교과과정

KORE 003 무제강좌 〔3〕
국문학에서 중요한 현대 사회의 특정 주제나 그에 대한 새로운 접근 방법을 학습한다.

KORE 201 한국문학의이해 〔3〕
국문학의 전체적 윤곽과 특징을 파악하고 주요 작품을 독서 과제로 섭렵하게 하여 국문학 각 부분의 바탕을 균형 있게 이해하게 한다.

KORE 208 한국어정보처리 〔3〕
컴퓨터와 인터넷이 생활, 학문, 산업의 각 부문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는 시대 조류 속에서 국어 국문학 및 인문 과학 전공자들이 한국어와 관련된 정보 처리의 주요 원리와 내용을 이해하도록 하는 데에 목적을 둔다.

KORE 209 현대시론 〔3〕
작품의 구조 원리 이해와 전체적인 현대시 흐름의 개관을 가능하게 하여 작품의 분석 능력을 개발하게 한다.

KORE 210 현대비평론 〔3〕
언어학, 경제학, 정신 분석을 참고하여 내재 분석의 방법을 구체적으로 개발하게 한다.

KORE 211 현대희곡론 〔3〕
근대 희곡사를 초창기, 발전기, 수정기 등으로 나누어 작품 분석과 함께 전체적으로 이해시킨다.

KORE 212 한국근대문학의형성 〔3〕
1900년대에서 1920년대에 이르는 시기를 대상으로 한국에서 근대문학의 개념·제도·실천이 정립되어 간 과정을 공부하게 한다.

KORE 213 현대문학사 〔3〕
20세기 한국 문학의 역사를 대상으로 하여 작가와 작품들의 지도를 그려 보게 한다.

KORE 215 고전문학사 〔3〕
고대 문학과 중세 문학을 포함하는 고전 문학 전반의 역사적 전개를 고찰하게 한다.

KORE 216 한국한문학강독 〔3〕
한문으로 기록된 한국인의 작품을 한문학사의 계보에 따라 유형별로 정리하고 시·소설·수필로 구분하여 그 중 중요한 작품을 자세히 뜯어 읽게 한다.

KORE 217 구비문학론 〔3〕
신화, 전설, 민담, 민요, 판소리, 속담, 수수께끼 등 구비 문학 전반을 이해하게 한다.

KORE 218 근세시가론 〔3〕
조선 시대의 시조와 가사를 중심으로 조선 시대 시가의 양식과 역사를 검토하게 한다.

KORE 219 고전소설론 〔3〕
고소설의 형식·구성·주제·소재·무대·작가에 대하여 이해하게 한다.

KORE 223 현대소설론 〔3〕
작품의 구조 원리를 이해케 하고 현대 소설의 흐름을 전체적으로 개관케 하여 작품의 분석 능력을 개발.

KORE 224 전통연희론 〔3〕
한국 전승 연희의 일반적 개요와 개념을 고찰하고, 세부 항목으로 들어가 각각의 연희를 공연 예술의 원리와 방법이라는 관점에서 심층 분석한다.

KORE 227 국어교과교육론 〔3〕
현행의 국어 교육을 비판하게 함으로써 바람직한 국어 교육의 이론과 방법을 개척하게 한다.

KORE 228 국어교과교재연구및지도법 〔2〕
스스로 작성한 교안에 따라 수업해 보도록 하여 효과적인 지도법을 터득하게 한다.

KORE 229 국어교과논리및논술 〔3〕
논리적 사고과정을 바탕으로 한 글쓰기를 통해 올바른 사고를 분별하고, 자신의 견해를 밝히고, 당면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한다.

KORE 230 한국어학의이해 〔3〕
언어학의 이론과 체계를 바탕으로 현대 한국어의 구조를 파악하고 기본용어와 분석 방법을 이해한다.

KORE 231 한국어음운의이해 [3]
한국어음운의 체계를 이해하게 하고 한국어음운론의 연구 영역과 연구 방법을 귀납적으로 터득하게 한다.

KORE 232 한국어연구사 〔3〕
한국어학 연구 성과를 통시적으로 살펴봄으로써 과거의 연구업적을 이해하고 새로운 연구 과제를 찾는다.

KORE 233 한국어발달사 〔3〕
고대 한국어 재구와 한국어 자료 고찰을 통해 고대 한국어․중세한국어․현대한국어의 통시적 변화 과정을 귀납적으로 터득한다.

KORE 234 한국어문법의이해 〔3〕
언어학적 분석 방법에 의해 한국어 구문의 이론과 체계를 이해한다.

KORE 235 한국어표현론 [3]
전문적 한국어 표현(글쓰기/말하기) 능력을 갖추는 데 필요한 이론을 학습하고 표현의 실제를 훈련한다.

KORE 236 한국어의미의이해 〔3〕
현대 국어의 단어 의미, 구문 의미를 체계적으로 해명하게 하고 그 분석 방법을 이해하게 한다.

KORE 237 현대소설강독 〔3〕
한국 현대 소설 작품을 면밀하게 읽고 작품 분석 능력을 향상시킨다.

KORE 305 소설창작연습 〔3〕
소설 창작 연습을 통하여 창작 의욕을 고취시키고 창작 능력을 계발한다.

KORE 306 시창작연습 〔3〕
시 창작 연습을 통하여 창작 의욕을 고취시키고 창작 능력을 계발한다.

KORE 307 현대극작가론 〔3〕
현대 문학사에서 희곡사적 비중을 갖는 대표적인 극작가들의 생애와 작품을 중심으로 연구한다.

KORE 309 한국한문학개론 〔3〕
한국 한문학의 작가, 작품, 사조를 사적으로 통관하게 한다.

KORE 311 고전시가강독 [3]
한국고전시가의 주요 작품을 강독함으로써 작품의 주제적 지향, 미적 특질, 양식적 기반, 장르적 특성 등을 깊이 있게 이해하도록 한다.

KORE 312 고전산문강독 〔3〕
고전 문학의 넷째 갈래에 속하는 작품들을 강독하면서 감상하게 한다.

KORE 313 고전문학배경론 〔3〕
고전 문학의 사상사적·사회사적 배경을 폭넓게 살피도록 한다.

KORE 314 고전비평선독 〔3〕
19세기 이전의 비평 문헌을 강독함으로써 한국 문학 비평의 근원을 파악하게 한다.

KORE 317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 〔3〕
외국어로 된 국어학, 언어학 관계 문헌을 자세히 뜯어 읽게 하여 외국 책을 읽고 비판하는 능력을 기르게 한다.

KORE 318 한국근대문학자료강독 〔3〕
근대문학 자료 중 각 학기의 주제에 적당한 종류를 선택, 직접 원문을 강독하고 해석하며 사회·문화적 의미를 탐사하게 한다.

KORE 319 한국어방언의이해 〔3〕
방언의 개념과 이론을 살피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 지역 방언의 특징을 이해하며, 사회 방언 및 언어적 디아스포라, 표준어 문제도 함께 탐색한다.

KORE 320 북한의한국어학 〔3〕
북한의 어문 규범(어휘, 표기)을 이해하고 어문 규범(어휘, 표기)의 남북 통일 방안을 모색하며, 한국어학에 대한 북한의 최근 연구 동향을 살핀다.

KORE 321 한국어학강독 〔3〕
한국어 연구의 주요 성과를 선택해 검토함으로써 각 연구 성과를 제대로 이해하고 그 학문적 의의를 찾는다 .

KORE 406 희곡창작연습 〔3〕
학생들에게 희곡 창작과정을 이해시키고, 희곡쓰기의 실습을 통해 드라마의 실제를 체험시킨다.

KORE 407 현대작가론 〔3〕
작가론의 이론과 방법을 공부하면서 한국 현대 작가를 작가론적 방법으로 조사, 연구한다.

KORE 408 현대시인론 〔3〕
현대 문학사에서 시사(詩史)적 비중을 갖는 대표적인 시인들의 생애와 작품을 중심으로 연구한다.

KORE 409 한국문학사상사론 〔3〕
문학과 사상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 문학 사상사를 고찰하게 한다.

KORE 410 고전소설강독 〔3〕
고소설의 대표 작품을 강독함으로써 작품의 구조와 아울러 소설사적 위치를 살피게 한다.

KORE 411 향가와고려가요 〔3〕
나려 시가를 중심으로 고대 시가의 형식과 특징을 파악하게 한다.

KORE 412 한국한시선독 〔3〕
한국의 한시를 강독함으로써 한국 한시의 변천과정을 이해하게 하고 한시를 즐기는 능력을 기르게 한다.

KORE 413 한문산문강독 [3]
한시를 제외한 한국 한문학 작품들 중에서 선택하여 강독을 통하여 감상하게 한다.

KORE 415 고전작가론 〔3〕
최치원에서 박지원에 이르는 고전 문학의 대표 작가들에 대해서 논의하게 한다.

KORE 418 한국어사강독 〔3〕
한국어사의 주요 문헌 강독을 통해 훈민정음 창제 당시의 한국어와 표기법을 알고, 이후의 변화를 이해한다.

KORE 420 한국어음성학 〔3〕
말소리의 생성, 전달, 이해의 과정을 이해한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 말소리의 조음적, 음향적 특징을 과학적 방법론을 통하여 알아본다.

KORE 425 한국어형태론 〔3〕
한국어 문법을 이루는 기초적 단위인 단어를 중심으로 그 용법을 살피고, 단어의 구성과 형성 과정 및 방법 등을 통해 단어의 짜임새와 의미를 파악한다.

KORE 426 한국어정책론 〔3〕
한국어 정책 전반을 실피고, 모어로서의 한국어의 올바른 사용을 이끌고 한국어를 외국어로 널리 보급하기 위한 정책 수립 방안을 모색한다.

KORE 427 응용한국어학 [3]
순수 한국어학 분야에서 다루기 어려운, 한국어의 사용과 관련된 실제적인 문제들을 검토․분석하고 그 이론을 연구한다.